본문 바로가기
명리일반

명리학 통근(通根)과 투출(透出), 투간(透干) 기초 이해하기

반응형

통근과 투간, 투출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있나요? 명리학 사주팔자를 분석하고 사주의 강약 판단과 운세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통근(通根)과 투간(透干) 및 투출(透出)의 의미를 알려드립니다. 

 

본 글은 명리학 독학하는 초학의 입장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이므로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통근의 개념

 

통근(通根)이란 연간, 월간, 일간, 시간의 천간 오행이 지지 및 지장간에 동일한 오행이 있는 경우를 "통근했다" 또는 "뿌리를 내렸다"라고 합니다. 

 

이때, 지지나 지장간의 오행이 일간과 같으므로 비겁에 해당 됩니다.

이렇게 통근하게 되면  뿌리가 튼튼하고, 안정적이며, 실행력이 있다는 관점으로 힘이 있어서 하늘(천간)의 뜻이 땅(지지)에서 잘 이행된다고 이해를 합니다.

 

명리학-통근

 

위 예제의 丑월 甲寅 일주입니다. 천간의 글자중 일간의 甲木과 시간의 甲木은 일지의 寅木에 통근되었습니다.

동일한 오행이 한 기둥에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힘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천간의 다른 글자는 지지나 지장간에 뿌리를 두고 있지 않습니다.

 

 

반면, 일간을 생(生)해주는 인성(印星)도 통근으로 포함하는 이론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맞는 것인지는 아직 잘 모르는 관계로 일단 포함하지 통근 영역에서는 포함하지 않고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명리학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이 점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아서 언급합니다>

그리고 통근에서는일간의 통근 여부가 제일 중요합니다. 일간이 통근되면 강하고 안정적이며 힘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반면 일간이 통근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안정하거나 버틸 힘이 부족한 사주로 인식합니다.

 

 

통근 파악

 

통근을 파악할 경우 월지를 먼저 살핍니다. 왜냐하면 월지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역활, 격국을 결정짓는 요소이고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시지
통근 파악은 1. 월지, 2. 일지, 3, 시지, 4. 지장간, 5, 지지합, 충 순으로 살펴 봅니다.

지장간 통근을 살필 때에는 정기(正氣) • 본기(本氣) > 중기(中氣) > 여기(餘氣) 순으로 파악합니다. 

 

명리학-통근

» 지지의 위치에 따라서 힘과 작용력이 달라지는데 통근하는 지지 힘의 세기는 월지> 일지> 시지>년지 순입니다.
» 천간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지지일수록 힘의 세기가 더 강합니다.
» 통근하는 지지 글자가 많을수록 힘이 강합니다.

» 천간합에 의해 합거(合去) 될 경우 통근이 제거될 수 있습니다.
» 지지에서 합(合)이나 충(沖)이 발생한 경우 그 통근의 힘이 소멸되거나 작용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통근의 이해

 

통근은 사주팔자 원국, 세운 그리고 대운의 변화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주 원국의 통근

사주 원국에서 통근이 있거나 많은 경우 실현 계획, 현실, 계획성, 방향성이 분명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여지동 등으로 통근이 있게 되면 고집이나 아집이 많아서 주변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운에서의 통근

세운이 들어와 통근을 하게 되면 해당 일을 실천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대운에서의 통근

대운으로 인해 통근을 하게 되면 계획과 목표를 설정하며 현실화하는 과정이 됩니다.

 

 

 

 

투간(透干)

 

투간(透干)과 투출(透出)은 지지의 지장간에 있는 글자가 천간에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천간에 나타난 글자가 지장간과 음양이 동일한 경우를 투간이라 하고 오행이 다른 경우를 투출이라고 합니다.

 

투간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은 월지의 지장간의 요소가 천간에 드러나는 것입니다.

 

◎戊乙◎

◎◎卯◎

 

묘월에서 투간 된 을목이 정관 격을 이룹니다.

이런 경우 명확한 직업성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사주에 따라 지장간이 투출이나 투간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지장간의 글자가 천간에 나타나지 않게 되면 글자의 활용성이 떨어지며

잠재성만 지니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어쨌든, 투출과 투간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장간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추후 공부하겠지만 월지의 투출 여부는 격국을 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지장간은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지장간에서 여러 개가 투출(透出)된 경우 정기(正氣)•본기(本氣)를 우선으로 보고 중기(中氣), 여기(餘氣) 순으로 파악합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사주원국의 전반적인 강약 판단과 운세의 흐름을 살펴보는데 기초 자료가 되는 통근, 투간/투출에 관한 의미와 기본적인 해석에 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 명리학에서 공부하게 될 격국과 용신을 접근하는데 기초 학습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지장간(地藏干) 의미와 구성

지장간은 사주 명리학에서 지지에 숨어 있는 천간이라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장간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며 이해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목차 지장간(地藏干)이란 지장간은 지지 속

octofeet.tistory.com

 

 

반응형

///////////////////////////////////////////////////////////